기원전 10세기까지의 고대 그리스의 고대에 해당하는 초기 그리스 시대와 그리스의 각 종족이 '폴리스'를 형성해 독자적 특색을 나타내며 역사를 창조 및 발전시켜온 본질적 의미에서 고대 그리스 시대, 또 그리스 문화가 세계주의적 문화로 변화된 헬레니즘 시대로 나눠지는 고대 그리스는 초기의 교육, 스파르타의 교육, 아테네의 교육, 헬레니즘 시대의 교육으로 나눠집니다. 초기의 교육은 초기 그리스 시기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없고, 시적으로 구전된 전통을 통해 알 수 있을 뿐입니다. 초기 시대는 영웅/무사의 교육으로 귀족적 영웅 양성이 목적이며, 교육의 기초는 훈련이었습니다. 이 교육에서 무사/영웅은 야만적 병사가 아니고, 용맹스러움과 고상한 기개를 지니며, 윤리와 도덕 측면에서도 이상적이며 완전환 수준에 도달한 사람을 뜻합니다. 당시 교육 이념은 아름다움, 선함이 합일된 미선성에 기초, 그는 잘 다듬은 육체 정신적인 도야, 윤리적 고귀성과 합일된 상태이고 체육, 음악이 조화로움을 이루는 상태입니다. 이처럼 초기 시대의 교육은 사회적이며 종교적 단일성을 강조, 체육 / 음악 교육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음 스파르타의 교육은 국가가 국민의 교육을 관장하는데 정치지도자는 형식적 훈련을 맡았습니다. 스파르타인에 의하면 유아는 집단에 봉사를 위해 태어났고, 그를 위해 양육되어야 했습니다. 스파르타의 교육의 근본은 전쟁기술을 훈련시키는 것인데, 개인 영웅을 양성하는 것이 아닌 강건한 신체, 투철한 애국심을 갖고 조국을 위하여 목숨까지 바칠 수 있는 병사를 양성하는 것에 있었습니다. 이 사화의 유아는 국가의 재산이었으며, 출생하게 되면 엄격한 신체검사를 통하여 생사가 결정되었습니다. 몸이 약하고 장애가 있는 아이는 버려졌고, 강하고 건강한 아이만이 생존했습니다. 7세까지는 가정에서 길러지고 이후에는 부모의 곁을 떠나 국가가 관리하는 병사에서 공동생활을 하고, '파이도노모스' 감독 하에 군사 훈련을 받았습니다. 17세 ~ 20세 청년들은 '에페비'라고 불렸는데, '에페비'는 국가에 충성을 다 하고 실제 무기를 사용하여 군사훈련을 받았습니다. 20세 이후 시민권 획득 및 완전한 군인이 되었습니다. 그 후에도 지속적으로 훈련을 받았으며, 병사에서 청년들을 지도하는 것은 중요 임무 중 하나였습니다. 스파르타에서는 음악, 읽기, 쓰기 등을 학습하는 것은 나쁜 것으로 간주할 정도로 지적 측면을 멸시하였습니다. 다음으로 아테네의 교육은 초기와 후기로 나눠지는데 초기는 스파르타와 더불어 건강하지 못한 유아는 버리는 관습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스파르타와는 다르게 국가가 아닌 아버지가 생사를 결정하였고, 건강한 유아는 가정에서 유모, 보모, 어머니에 의해 양육되었습니다. 초기 아테네 자유민은 7세가 됨과 동시에 '파이다고고스'의 지도를 받으며 학교를 다녔고, 체육 학교와 음악 학교에서 각 교과를 교육받았습니다. 신체교육은 체계적 훈련을 동반한 도덕적 교화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고, 음악교육은 정서적 조화, 리듬을 주어 아름다음과 선함을 받아들이는 적합한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미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교육은 법률로 제정되어 국가적으로 강요나 통제받지 않았습니다. 아이를 학교에 보내 배우도록 하는 것은 부모의 자유적 교육열이므로 교육 비용도 부모가 지불하였습니다. 후기 교육은 기원전 8 ~ 6세기에 '크세노폰'과 '플라톤'같은 개혁가가 등장하는데, 아테네 교육의 개혁을 주장한 것이 바로 이들입니다. 미학, 신체적 요소가 줄고 문자와 문학이 강조됨에 따라 읽기, 쓰기, 셈하기와 당대 위대한 시인으로 칭송받던 자들의 시의 암송을 지도하는 문자 교사가 중요한 존재로 여겨졌습니다. 기원전 5세기 아테네는 시민들이 공공 생활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주어지는데, 많은 청년들이 공공 생활에 참여하기 위해 본인의 탁월성을 정치적 행위로 표현하려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소피스트'가 출현하게 되었는데 그들의 교육 목적을 생활에서의 유능성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적시하였으며, 실천적인 것에 중점을 두고 지식에 관해서도 참과 거짓 같은 철학적 입장보다 실천적 사용 가능성의 관점으로 보았습니다. '소피스트'들은 청년들의 욕구에 맞는 유능한 정치가를 배출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며 능력 및 지성, 정치적 탁월성을 기르는 훈련을 하였습니다. 이전까지의 초중등교육의 수준을 뛰어넘는 수준의 일반교양교육을 '소피스트'들이 제공하였는데, 시민으로 살아감에 필요한 일반적 자질의 부여를 위한 교육으로 '엔키클리오스 파이테이아'를 제공하였습니다. '엔키클리오스 파이테이아'는 교양교육으로 문법, 변증, 수사학, 시민 과목 등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수많은 '소피스트'는 학교를 설립하지 않았는데, 이는 학생을 한데 모아 개별적으로 지도 및 토론과 시범을 교수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소피스트'들은 교육을 대가로 보수를 받았고, 이것은 인류 역사 최초로 직업적 교사로 여겨지게 되었습니다. 마지막 헬레니즘 시대의 교육은 당시 문화 전체와 더불어 융합적 성격을 지닌 채 발전하였습니다. 교육 실제와 이론 면에서 새로운 것의 이룩보다는 그리스식 교육을 보급하는 것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이 시기에 많은 종류의 학교를 운영함에 따라 학교 제도가 발달하였고, 특히 고등교육기관들이 발달하였습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의 생애 (0) | 2022.12.15 |
---|---|
플라톤의 교육 목적과 방법 및 아동 발달의 연구 (0) | 2022.12.15 |
서양 고대의 교육 중 로마 교육 (0) | 2022.12.14 |
교육 평가의 관점과 의미 (0) | 2022.12.13 |
교육 공학의 정의 및 개념과 관점 (0) | 2022.12.09 |
댓글